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5월] :: 백엔드 탐구생활 :: Firebase가 뭘까요?

[8기 SSAFYcial] 싸피의 모든 것

by 감싹이 2023. 5. 28. 22:27

본문

안녕하세요! 모두들 좋은 봄날 보내고 계실까요? 저는 자율 프로젝트를 끝내고 포트폴리오 위크를 보내며 싸피를 마무리 하고 있습니다. 입학식 기사를 썼던 게 어제 일같은데 벌써 마지막 기사라니... 사실 아직 실감은 안 나는 것 같아요. 일년동안 치열했던 하루하루가 추억이 되고 으쌰으쌰 했던 동기들이 이제 각자 원하는 길을 찾아 흩어진다는 생각을 하면 섭섭하기도 하고 뿌듯하기도 하고 복합적인 감정이 드는 요즘입니다.

 

오늘은 백엔드 탐구생활 마지막 토픽으로 ' 파이어 베이스 Firebase '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

앱 개발을 할 때 한 번은 들어보게 될 모바일 서버 파이어 베이스! 지금부터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.


00. 파이어베이스란?

파이어베이스는 2011년 파이어베이스(Firebase, Inc)사가 개발하고 2014년 구글에 인수된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입니다.
AWS와 비교해보았을 때, AWS가 백엔드 플랫폼, 인프라를 모두 지원한다면 파이어베이스는 백엔드 플랫폼 서비스만을 지원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

01. 왜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하나요?

모바일 서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증, 데이터베이스, 푸쉬 알림, 스토리지, API 등 모든 것을 개발해야 했습니다. 하지만 모바일 서버는 이런 모든 것을 구성하는데 이 구성 범위가 새로 구현되는 앱들과 차이 나지 않는다는 데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. 리눅스/데이터베이스 설치, 노드/스프링 서버 구축 등 반복적인 작업을 하며 앱 개발 시마다 엄청난 시간낭비가 발생한 건데요, 파이어베이스가 개발된 이후 개발자들은 적은 비용으로 쉽게 앱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02. Firebase 장점

1. 인증시스템 지원
- 로그인 담당 부분은 서버 개발할 경우 엄청나게 복잡한데, Firebase가 보안처리, 아이디/비밀번호 찾기, 이메일 인증 등 복잡한 부분을 대신 수행
2. NoSQL 기반 3세대 데이터베이스
- Document 형식의 빠르고 간편한 NoSQL 기반 데이터베이스 도입. RTSP(Real Time Stream PRotocol) 방식의 데이터 베이스 지원
- RTSP :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방식 (소켓 기반 서버 통신보다 코드 양이 줄어 생산성 향상)
3. 원격 구성 지원
- 원격으로 앱의 환경 상태를 구성하는 것
- 앱의 배경화면 테마나 폰트를 변경한다거나, 업데이트 알림창을 띄울 때 등 앱의 환경을 원격으로 구성할 때 사용하는 기능
4. 콘솔 제공
- 서버 관리자 페이지 (콘솔) 제공. 리눅스, FTP, MySQL(데이터베이스), Node.JS 서버 혹은 Spring 서버, 푸시보내기  API 관리하는 관리자 페이지를 지원해줌.

03. 그외 파이어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유용한 기능

Analytics : 사용자 정보, 사용 통계 보여주는 기능

Crashlytics :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거나 오류가 생겼을 때 자동으로 문제점 보고해 해결에 도움

Cloud Messaging : 안드로이드, ios, 모바일 기기에 보낼 수 있는 푸쉬알림 전송을 도움

 


그럼 이상으로 ' 백엔드 탐구생활 : 파이어베이스 ' 를 마무리해보고자 합니다. 이 기사를 읽어주신 모든 분들의 앞날에 꽃길이 펼쳐지길 바라며! 지금까지 8기 싸피셜 최다혜였습니다. 감사합니다!

참고자료

AWS와 파이어베이스, 대표적인 클라우드 백엔드 소개

Firebase란?

 

관련글 더보기